“경희미 한의원에서 제공하는 내용이며 조재훈 박사는 경희미 한의원 블로그 닉네임입니다.
” 급성 편도 염증상, 구취 원인 및 구취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편도의 위치와 종류편도라고 하면 보통 목 옆에 있는 구개 편도를 가리키는데 설근과 비강 뒤에도 있고 각각 설편도, 인두 편도라고 불립니다.
편도는 공기나 음식이 들어오는 통로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일차 면역을 담당합니다.
4~10세에 작용이 왕성하므로 비대해지기 쉽고 사춘기 이후에는 퇴화되지만 감염이 반복되면 비대가 지속됩니다.
편도염급성 편도염의 원인은 학동기 이전에는 바이러스 감염이 흔하지만, 학동기 이후에는 세균 감염이 많습니다.
세균 중에서 특히 A군 베타 용혈성 연쇄구군이 중요합니다.
증상으로 심한 고열 오한과 함께 인후통, 침을 삼킬 때 연하통이 있으며 두통, 관절통, 전신피로감 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감염이 지속되거나 반복되면 편도 비대를 유발하고 이어 구취, 코골이, 목 주변 림프종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편도염이 호발하는 소아는 만성 비염이나 축농증을 겸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강의 염증성 분비물이 인두로 옮겨져 중이염, 편도염, 목의 이물질, 기침 등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중이는 이관을 통해 인두 상부 측벽으로 공기를 통과하고 있습니다.
구취와 설백태입냄새는 본인이 모르는 경우가 많고 주로 공복이나 아침 기상 시 인지할 수 있습니다.
입은 음식과 공기의 통로이기 때문에 구강인후질환, 치아문제, 흡연, 음주 외에도 코호흡기질환, 위식도질환 및 간신질환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습니다.
설백태한의학에서는 구취는 위열이나 폐열에 의해 생기고 습열이 많은 체질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인식합니다.
습열의 증거로 설백태가 생기기 쉽고 설백태는 구강상재균이 번식하는 좋은 환경입니다.
열이 심해질수록 백태, 흑태로 변해갑니다.
편도염, 구취 원인 치료편도염 구취외감+노권상진음부족습열+식적상편도염의 발병 원인은 불이며 불의 발생은 바이러스나 세균감염, 과로, 열체질에 기인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각각 외감, 노권상, 진음부족으로 구분합니다.
구취의 발생 원인은 습열이며 습열은 대부분 느끼하거나 매운 음식, 음주로 인한 것으로 병인 중 식적상에 해당합니다.
경희미한의원은 원인을 치료합니다한방내, 이비인후과 전문의 진료구내염, 구강건조증, 인후염역류성후두염, 목이물질감 매몰기, 기침담, 쉰목소리, 편도염, 구취설백태, 한방내이비인후피부과 전문의, 경희대학교 한의학박사 조재훈 원장진료ㅣ서울 노원구 한글비석로 383 삼창프라자 2층 지하철 4호선 상계역 3번출구경희미한의원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383 삼창프라자 2층경희미한의원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383 삼창프라자 2층경희미한의원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383 삼창프라자 2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