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나한테 안 돼” 삼성, 폴더블폰 기술로 중국 눌렀다

변신 대신 완벽함을 추구한 4세대 갤럭시Z 중국에는 없는 플렉스 모드·스위퍼 구조 구글·MS·메타 협업으로 앱 생태계 강화 “하반기 삼성 폴더블 점유율 80%에 달할 것”

 

삼성 전자가 4번째 폴더블 폰 시리즈”갤럭시 Z폴드 4″(이하, 갤럭시 Z폴드 4)와 “갤럭시 Z플립 4″(이하, 갤럭시 Z플립 4)을 공개하고 전 세계에 기술력을 과시했다.

신제품을 전면에 내세우고 폴더블 폰의 진정한 대중화를 앞당기겠다는 포부다.

회사는 전편의 흥행을 계속하므로 과감한 변신 대신에 내실을 다지고 완벽을 추구했다.

화면을 접기에만 급급했던 중국 브랜드와 달리 품질과 가격의 양쪽을 잡아 선구자의 입장을 거듭 각인했다.

제대로 접는 거는 갤럭시 뿐 11일 삼성 전자 노·태 문 MX(모바일 경험)사업 부장은 “갤럭시 앙팟크 2022″을 마친 뒤”2025년까지 삼성 전자 프리미엄 스마트 폰 판매량의 절반 이상을 폴더블 폰으로 채운다”로 “폴더블 1000만대 이상의(판매)숫자를 치는 원년을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이라고 밝혔다.

중국 폴더블 폰에 없는 갤럭시 Z플립 4의 차별화 요인은 “플렉스 모드”이다.

휴대 전화를 원하는 각도에 넓히면 손이 자유로워지고 세르피를 찍고 콘텐츠를 시청할 때 유용하다.

이러한 핸즈 프리 사용성의 핵심은 삼성 전자의 혁신적인 듀얼 캠 메커니즘 기반의 “하이드 어웨이 힌지”이다.

캠은 힌지( 접히는 부분)내부에 경사와 평면이 교차하는 구조이다.

서로 맞물려서 힘을 가할 때마다 고정과 이동을 반복하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https://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is/2022/08/12/c50e9c75-5870-44fb-976d-110acca7e455.jpg

‘갤럭시Z 플립4’ 삼성전자 제공

중국 화웨이는 지난해 말”P50포켓”을 선 보이며 같은 클램쉘(상하로 꺾인다)스마트 폰인 갤럭시 플립을 공개 저격했다.

틈이 생겨플립과 달리, 접히면 완벽하게 겹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힌지가 고정되지 않고 펴지지 않으면 제품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를 보였다.

대화면의 갤럭시 Z폴드 4는 여러 앱을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 태스킹 경험을 강화했다.

새로 추가된 “태스크 바”에서 자주 이용하는 앱에 쉽게 접속할 수 있는 손가락 제스처로 화면을 전환하거나 분할하는 “스와이프 제스처”을 채택했다.

3번째 폴드 시리즈에서 도입한 “S펜”으로, 도면이나 필기도 가능하다.

중국 옷포는 지난해 갤럭시 폴드와 유사한 형태의 “파인드 N”을 발표하면서 삼성 전자를 자극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눈에 띄게 줄어든 힌지의 주름이었다.

U자형 힌지를 적용하고 부드러운 화면이 부러지도록 했지만 폴드보다 힌지 폭이 넓은이 깊이는 얕고 생각이 없었다.

그러나 여기에도 오포가 넘을 수 없는 기술 장벽이 있다.

바로 방수, 방진이다.

U자형 폴더블 폰은 대체로 이에 취약하다.

‘갤럭시Z폴드4’ 삼성전자 제공

갤럭시 Z플립 4와 갤럭시 Z폴드 4는 모두 IPX8등급의 방수를 지원한다.

수심 1.5m의 민물 최대 30분만 버티는 수준이다.

방진은 공식적이지는 않지만 일정 수준을 보장한다.

삼성 전자는 하이드 어웨이 힌지의 “스위퍼”기술에서 내구성을 극대화했다.

청소부 구조는 힌지가 꺾이거나 펼칠 때 나일론 섬유가 틈을 끊임없이 쓸어내이물질이 디스플레이에 들어오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에 그치지 않고 삼성 전자는 폴더블 환경에서 앱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구글과 마이크로 소프트(MS)은 물론 페이스북·인스타그램 운영 회사 메타와 협업했다.

갤럭시 Z플립 4는 인스타그램”리르스”처럼 많은 쇼트 폼( 짧은 동영상)촬영과 페이스북 영상 통화에 플렉스 모드를 뒷받침한다.

갤럭시 Z폴드 4는 MS오피스나 구글, Gmail앱 등을 드래그앤 드랍으로 가볍게 쓰도록 했다.

이에 대한, 화웨이는 미국 기술 제재로 확장성이 낮은 독자 OS(운영 체제)를 탑재했다.

구글 앱 사용에는 어려움이 다양한 환경 업무에 제한이 있다.

이 밖에도 삼성 전자는 폴더블 생태계 확산 때문에 글로벌 경기 침체와 공급망 타격에도 가격을 동결했다.

달러 기준으로 갤럭시 Z플립 4이 999달러(128GB)갤럭시 Z폴드 4이 1799달러(128GB)이다.

11일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에서 총 15개 스크린에 갤럭시Z플립4xBTS 콜라보레이션 영상을 상영한 모습. 삼성전자제공중국을 추격하는데.”폴더블 1위는 삼성”이처럼 중국 브랜드도 속속 폴더블 폰을 내놓은 추격에 나섰지만, 리더십을 선점한 삼성 전자가 막강한 영향력을 자랑하고 있다.

시장 조사사 카운터 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폴더블 폰 시장 규모는 지난해 900만대에서 73%성장한 1600만대로 확산될 전망이다.

올해 상반기 이 시장에서 삼성 전자는 점유율 62%로 1위를 기록했다.

화웨이와 옷포이 각각 16%, 3%로 2~3위에 올랐다.

카운터 포인트 리서치의 박·사진 연구원은 “화웨이·옷포·사진 오미·비보이 새로운 폴더블 폰을 발매하고 있지만 중국 시장에 제한되고 있다.

모토로라가 현재 미국 시장 등에서 유일한 라이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계속”갤럭시 Z폴드 4와 갤럭시 Z플립 4의 판매량은 9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하반기 삼성 폴더블 폰 점유율은 80%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요시토시(정·길, 쥰)기자 [email protected]ⓒ 일간 스포츠(https://isplus.joins.com)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