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마음에 드는 노래를 스트리밍 앱에 더해놓는 것이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모아둔 플레이리스트를 스피커로 틀어놓은 채 침대에 누워 있으면 피곤했던 몸과 마음이 조금은 치유되는 것 같습니다.
앱에 곡을 추가할 때 구글의 ‘Hum To Search’ 혜택을 특히 많이 받았습니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준비물> 음악 또는 목소리 구글 앱
<준비물> 음악 또는 목소리 구글 앱
소리로 노래 찾기
1. 구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검색창 옆에서 ‘마이크’ 형태를 찾을 수 있습니다.
2. 음성 검색이나 입력을 사용하려면 마이크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해야 합니다.
해야지 쓸 수 있어.
3. 화면 하단에 있는 [노래 검색] 버튼을 선택합니다.
– 접속 허가를 누르면 자동으로 화면이 이동하는데 제 스마트폰 화면에서는 왠지 저 버튼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 이때는 당황하지 마시고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다시 실행해 주세요. 4. 소리 들려드릴게요.
둥둥 인식 시작5. 잘 듣지 않아서 바로 정보를 알려줍니다.
플레이리스트에 저장한다!
플레이리스트에 저장한다!
- 구글뿐만 아니라 네이버 그린닷, 멜론 등 스트리밍 앱, 샤잠에서도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사로 찾는 방법도 설명해놨다.
– 아래 포스팅 링크를 클릭하십시오.네이버 음악검색 : 소리로 음악찾기(+아이폰) – 날씨가 더워져서 요즘 카페에 가서 업무를 보는 편입니다.
– 일하면서 무심코 흘려보내는 카페내 소…blog.naver.com네이버 음악검색 : 소리로 음악찾기(+아이폰) – 날씨가 더워져서 요즘 카페에 가서 업무를 보는 편입니다.
– 일하면서 무심코 흘려보내는 카페내 소…blog.naver.com네이버 음악검색 : 소리로 음악찾기(+아이폰) – 날씨가 더워져서 요즘 카페에 가서 업무를 보는 편입니다.
– 일하면서 무심코 흘려보내는 카페내 소…blog.naver.com허밍으로 찾다-현재 나오는 음악을 정확히 탐색하는 것이 상기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주변이 너무 시끄러워 없으면 매회 정확히 결과가 나온다.
– 하지만 지금 재생되고 있는 노래도 아니고 그렇다고 가사를 알고 있는 것도 없을 때는 음정과 박자만 타이틀을 찾아야 하는데 마땅한 방법이 떠오르지 않고 이런 때는 정말 곤란합니다.
- 이런 상황에서 구글의 서치 기능이 진가를 발휘합니다.
*지금부터가 본격적인 오늘의 본론이라고 할 수 있다.
1. 마이크 아이콘을 터치한 후 화면 하단의 노래 찾기를 누릅니다.
2. 스마트폰에 대고 소리를 흥얼거리기만 하면 됩니다.
*무반주로 부르려니 상당히 부끄럽다… 혼자 있을 때 하는 걸 추천해요!
- 아무래도 가수처럼 정확한 소리도 아니고 가사도 없이 노래하다보니 인식하는데 시간은 좀 더 걸립니다.
– 아까와는 다르게 후보가 3개 나와서 몇 퍼센트 일치하는지도 보여줍니다.
- 리스트 맨 위 음악부터 천천히 들으면서 찾던 곡이 맞는지 확인해보세요. *가끔 두 번째나 세 번째에 나오기도 한다.
– 이 방법으로 몇 년 전에 라디오에서 스쳐 지나간 곡의 제목을 발견했습니다.
- 제대로 부르지 못한 탓인지 이번에는 맨 위가 아니라 두 번째로 발견했지만…일치율 12%?!
잘 찾았다.
일치율 12%?!
잘 찾았다.
일치율 12%?!
잘 찾았다.
일치율 12%?!
잘 찾았다.
- ‘구글’이 아닌 ‘VIBE’ 앱에서도 똑같이 시도해봤지만 가슴이 찢어진 채 실패했습니다.
– 확실히 허밍에서 음악을 검색하는 것은 아직 어느 것도 구글을 따라잡을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예전에 찾기를 포기했던 곡들을 재생목록에 올릴 수 있었다!
오늘도 저의 포스팅이 여러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이타인이었어요 :)- ‘구글’이 아닌 ‘VIBE’ 앱에서도 똑같이 시도해봤지만 가슴이 찢어진 채 실패했습니다.
– 확실히 허밍에서 음악을 검색하는 것은 아직 어느 것도 구글을 따라잡을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예전에 찾기를 포기했던 곡들을 재생목록에 올릴 수 있었다!
오늘도 저의 포스팅이 여러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이타인이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