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개요 창립자 차오샤오둥 설립연도 2016 CEO 차오샤오둥업종 자율주행 주요업무 자율주행 기술 및 솔루션 개발, 판매매출 규모-상장여부 N글로벌 유니콘 순위 305위(2022년 6월 30일 기준) 홈페이지 https://www.momenta.cn/ 본사주소 베이징시 하이톈구 중관춘둥로 8호(8호) 동샹타이샤 C동 3층
지난해 12월 중국 3대 자동차 업체인 상하이자동차그룹(SAIC MOTOR)이 중국 최초로 ‘레벨4’ 자율주행 택시 승차 서비스를 제공했다.
상하이자동차그룹은 자체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인 상하이시와 쑤저우시에서 100일간 로보택시 60대를 운행했다.
시범운행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로보택시 이용자 만족도는 98%, 재이용률은 80%에 육박했다.
[사진 기차지심 위챗 계정]
샹다오추신 이용자 만족도가 이처럼 높았던 데는 숨은 조력자인 ‘모멘타’의 공이 컸다.
모멘타(Momenta·베이징 최초속도과기술유한공사)는 2016년 설립된 중국 자율주행 기술 업체다.
‘더 나은 AI, 더 나은 삶(Better AI, Better Life)’을 모토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에 주력한다.
상하이차와는 2021년 3월부터 ‘중국식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협력해왔다.
이용자 만족도 98%, 재이용률 80%, 칭화대 수재가 세운 자율주행 스타트업 ‘모멘타’
모멘타 창업자 자오쯔둥 [사진 백도백과]
모멘타 창업자는 ‘포춘지 선정 40대 이하 재계 엘리트’, ‘MIT 테크놀로지 리뷰 선정 35세 이하 혁신가 35명’ 명단에 이름을 올린 조욱동이다.
조석동은 중국 명문 칭화대 출신의 수재다.
2008년 학부 졸업 후 마이크로소프트(MS) 센스타임을 거쳐 2016년 모멘타를 창업했다.
모멘타의 목표는 다양한 수준의 자율주행 솔루션을 제공해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를 재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단계별 개발을 통한 자율주행의 안전성, 편의성, 효율성 향상에 힘쓰고 있다.
<모멘타의 3단계 개발 목표>
스텝1 빅데이터, 빅컴퓨팅, 모델 최적화 플랫폼 구축.2단계 구축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주변 감지, 고정밀 지도와 경로 계획 알고리즘 개발.3단계, 다양한 수준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양산이 가능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출시.
GM 상하이자동차 도요타 러브콜 쇄도 누적 투자유치액 1조원 넘었다
전 세계 많은 자동차 기업들이 자율주행 상용화에 몰두하는 가운데 지난해 9월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발표한 모멘타 투자 소식이 큰 화제를 모았다.
GM은 자사 차량에 탑재할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을 위해 모멘타에 3억달러(약 3907억5000만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모멘타에 주목하는 기업은 GM만이 아니다.
지난해 모멘타는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중 가장 많은 투자금을 유치했다.
2021년 11월 기준 모멘타의 누적 자금 조달액은 1조5630억원(약 12억달러)로 집계됐다.
상하이자동차 GM 도요타 메르세데스벤츠 같은 거물급 기업들이 든든한 버팀목이 돼줬다.
‘양발전략’으로 테슬라와 웨이모 모두 잡기
설립된 지 5년도 안 된 신생 스타트업에 국내외 대기업의 러브콜을 쏟아내는 이유는 ‘두 다리 전략’에 있다.
현재 자율주행차 업계의 기술개발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레벨 1부터 완전자율주행에 이르기까지 점차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테슬라(Tesla)’를 포함한 다수의 완성차 업체들이 이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두 번째는 로보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즉시 레벨4 기술 개발에 착수하는 것으로 구글 자율주행 자회사인 ‘웨이모(Waymo)’가 이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모멘타는 통상 둘 중 하나의 방식을 택하는 관례에서 탈피해 투트랙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 투트랙 전략은 양발전략(two-leg strategy)으로 불린다.
모멘타의 ‘양발 전략’과 ‘플라이 휠(Flywheel) 모델’ [사진 모멘타즈프 공식 계정]
양발 전략(two-leg strategy)는 왼발의 역할을 한다”웬 파일럿(MPilot)”과 오른 다리 역할을 한다”MSD(Momenta Self-Driving)”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엠 파일럿(MPilot)는 자가용을 위해서 제작된 수준 2~3수준의 자동 운전 소프트웨어 솔루션에서 주차 상황, 고속 도로 도심 등 특정 조건하에서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한다.
모ー멩타은 완성 차 업체들에 엠 조종사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저비용으로 방대한 주행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고도로 자동화된 데이터 마이닝 기능을 사용하여 처리한다.
엠 조종사는 개방형 솔루션으로서 설계되어 처리된 데이터는 다시 엠 조종사의 자동 운전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된다.
모멩타은 자동차에 탑재된 엠 조종사를 통해서 도로와 주변 환경 데이터를 축적하고, 주행 중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는 여러가지 변수를 찾아낸다.
그리고 이를 오른발 MSD에 딥 러닝 데이터로 제공한다.
MSD 탑재 샹다오 로보택시【사진 모멘타 공식 홈페이지】
MSD(Momenta Self-Driving)은 모ー멩타의 최종 목표이자 완전 자동 운전 솔루션이다.
모멩타은 자사가 개발한 MSD를 택시와 자가용에 보급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개편을 바라고 있다.
앞서서 소개한 샤은다오츄싱의 로보 택시가 바로 MSD기술을 탑재한 대표적 사례다.
모멩타 CEO의 조 쿄크토는 샤은다오츄싱의 시험 운행에 대해서,”로보 택시의 보급을 확대하려는 모멩타의 여정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된 “이라고 말했다.
“다리 전략”은 “플라이 휠(Flywheel)”모델에 의해서 실현된다.
플라이 휠은 “데이터 기반(Data Driven)”,”방대한 데이터(Massive Data)”,”폐 루우프 자동화(Closed Loop Automation)”이라는 3가지 특징을 갖는다.
Momenta는 사람이 직접 만든 알고리즘은 아니다”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높은 효율을 낸다.
또” 막대한 데이터”에서 실제 주행 시나리오 및 특수 상황을 반복 학습하고 고도의 “자동화된 폐 루프”을 통해서 자동 운전 알고리즘을 개선한다.
모멘타&BYD 합작법인 디파이즈싱 간판식 [사진 모멘타 공식 홈페이지]
2021년 이후 중국에서 전통 완성 차 업체들의 자동 운전 시작에 대한 투자와 합병(M&A)의 움직임이 눈에 띄게 활발해지고 있다.
모멩타은 2017년 메르세데스 벤츠 그룹을 시작으로 상하이 자동차, GM도요타 등 세계 유수의 완성 차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다.
지난해 11월 모멩타은 비야디(BYD)와 손 잡고 자동 운전 합작 회사인 디파 이즈 신구를 설립했다.
디파 이즈 싱은 비야디가 보유한 자동차 제조 능력과 모ー멩타의 자동 운전 기술을 통합, 차세대 자동 운전 자동차를 개발할 계획이다.
인공 지능을 앞세운 모멩타의 자동 운전 솔루션이 어떻게 미래 모빌리티를 선도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차이나 랩 권·가 연 에디터